A. 이 질환은 급성으로 발열, 요통과 출혈, 일시적인 신장 및 간장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급성전염성 출혈성 질환군을 말하며, 한국형 출혈열, 극동출혈열, 유행성 출혈열, 유행성 신증 등으로 알려져 있다.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 질병이 많이 발생하고, 군인, 캠핑이나 등산, 낚시 등 야외활동이 많아 바이러스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젊은 연령층 남자에게서 잘 발병(남성 대 여성환자 비율은 약 2:1)하며 최근에는 소아에서도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1982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한국형 출혈열과 임상적으로 유사한 질병들의 원인이 한탄 바이러스(Hantan virus) 혹은 이와 유사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기 때문에 소련의 출혈성 신우신염, 스칸디나비아 제국의 유행성 신염, 일본의 유행성 출혈열, 중국의 송고열 등 비슷한 질병의 명칭을 신증후군출혈열로 불리운다.
A. 잠복기는 평균 2∼3주 정도이며, 급성으로 발열 피가 나는 경우가 있고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특징적으로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전신증상이 있으며 5단계를 거친다.
A. 들쥐나 집쥐의 배설물에 있는 바이러스가 먼지, 흙 등에 침투해 있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는 타액(침)과 대변을 통해서 약 1개월간, 소변을 통해서는 1년 이상 바이러스를 배출하며, 현재까지 감염 환자로부터 다른 사람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환자가 발생하였다는 보고는 없다.
A. 치료를 위한 특이 요법은 없고 임상경과시기별로 적절한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치료에 앞서 출혈이나 쇼크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대 안정이 필요하다. 사람간의 전파는 없으므로 격리시킬 필요는 없다.
A. 고위험지역 거주자 및 고위험군에게 우선 접종하도록 권장한다.
A. 한타박스 백신의 경우 통상 항체지속기간은 1년 이상 유지되며, 추가 접종을 실시하여야 한다.
A. 그렇지 않다. 감염 후에는 항체가 생기고 이 항체는 수십년 후까지 유지되므로 재감염되지는 않는다.
A. 신증후성 출혈열의 발열, 두통, 기침 등의 초기 증상은 가을철 유행하는 감기와 비슷한 모양을 보이므로 1~2주 이후 열이 나고 춥고 떨리며, 두통 등의 감기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찾아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A. 그렇다. 중증환자는 감염자의 약 3/1이라고 하며, 치사율은 1950∼1960년대에는 7∼15%였으나 현재는 5%미만으로 감소되었지만 심한 경우에 사망할 수 있다.